인도 가계, 금 보유량 3만4,600톤…미국 중앙은행의 4배 넘어

인도 가계, 금 보유량 이미지 1

인도 가계, ‘금’으로 미국 중앙은행 4배↑ 자산 축적… 숨겨진 3만 4,600톤의 비밀

[Issuekr=Ro] | 최종 수정 2025.10.12.
최근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, 전 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이 한 국가의 ‘숨겨진 금고’로 쏠리고 있다. 바로 인도 일반 가정이 보유한 막대한 금 자산이다. 인도 가계가 비공식적으로 축적한 금의 총량은 약 3만 4,6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며, 이는 세계 최대 금 보유국인 미국 중앙은행(약 8,133톤)의 4배를 훌쩍 넘는 규모다.

인도 가계, 금 보유량 이미지 2

이 민간 금 자산의 가치는 최근 급등한 금 시세를 반영하여 3조 8천억 달러(약 5,520조 원)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되며, 금값 폭등과 함께 인도 가계의 부를 크게 불리고 있습니다. 인도는 왜 이렇게 금을 사랑하고, 이 금들이 인도 경제와 문화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
1. 압도적 규모: ‘민간 금고’가 중앙은행을 능가하다

① 세계 최대의 ‘민간’ 금고

인도 가계가 보유한 금 3만 4,600톤은 공식적인 국가 금 보유량 순위와 비교할 때 그 규모가 더욱 두드러집니다. 아래 비교를 통해 그 압도적인 규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미국 중앙은행(정부) 보유량: 약 8,133톤
  • 독일 중앙은행 보유량: 약 3,350톤
  • 인도 중앙은행(RBI) 보유량: 약 880톤 (인도 가계 보유량의 약 39분의 1)

즉, 인도의 금은 국가 중앙은행이 아닌, 수많은 일반 가정의 금고 속에 잠들어 있는 셈입니다. 이 금들은 종교, 결혼, 투자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수천 년에 걸쳐 축적되어 왔습니다.

② 인도 경제의 ‘숨겨진 자산’

금값 상승은 인도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가계의 금 자산 가치가 급증하면서, 이는 소비 심리 강화와 맞물려 인도 경제를 활성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.

또한, 이 막대한 금을 담보로 한 금 담보 대출 시장이 은행과 제도권 금융기관을 통해 활성화되어 있어, 가계가 필요할 때 금의 약 80~85%에 달하는 금액을 손쉽게 대출받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.

인도 가계, 금 보유량 이미지 3

2. 금 사랑의 뿌리: 문화적, 사회적 배경

인도인들의 금 선호는 단순한 투자를 넘어 문화적, 종교적 관습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. 금은 수천 년간 신성함과 안전판의 역할을 해왔습니다.

① 종교적 의무와 축제

  • 금은 부와 행운의 여신인 락슈미 숭배와 직결됩니다.
  • 디왈리 축제 중 ‘단테라스’ 날에는 금을 사는 것이 행운을 부른다는 믿음 때문에 단 하루 만에 수십 톤의 금이 거래되기도 합니다.

② 여성의 재산과 안전 자산

  • 인도 금 수요의 약 절반(50%)은 결혼식과 관련이 있습니다. 신부가 지참하는 금 장신구, 즉 ‘스트리 다한(여성의 부)’은 비상시를 대비한 유일하고 안전한 재산으로 간주됩니다.
  • 역사적으로 불안정한 금융 환경과 인플레이션 속에서 금은 가장 확실한 가치 저장 수단이자 비상금 역할을 해왔습니다.

3. 인도 정부의 딜레마: 막대한 금 수입

민간의 금 사랑이 가계의 부를 늘리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, 인도 정부에게는 장기적인 경제적 난제를 안겨줍니다.

① 전량 수입 의존과 경상수지 적자

인도에서 소비되는 금은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합니다. 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많은 연간 700~800톤의 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천문학적인 외화를 지출하고 있습니다. 이로 인해 금 수입액은 원유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,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를 심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되어 왔습니다.

② 정책적 한계

과거 인도 정부가 금 수입 관세를 인상하며 수요 억제를 시도했으나, 인도 국민들의 뿌리 깊은 ‘금 사랑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. 정부는 금 수요를 억제하는 동시에 국민의 자산권을 존중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있습니다.

인도 가계, 금 보유량 이미지 4

인도 가계의 금 보유량은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, 인도의 복잡한 문화, 종교, 경제 환경이 엮여 만들어낸 독특한 현상입니다. 이 금은 개인의 부와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, 동시에 국가 경제 정책의 난제로 남아있습니다.

향후 글로벌 금 시장의 흐름과 인도 거시경제 정책에 인도 가계의 막대한 ‘황금 신앙’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,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.

(끝)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