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결혼 후 헷갈리는 배우자 가족 및 친척 호칭, 완벽 정리 가이드! 🤵♀️🤵
결혼 후 배우자의 가족과 친척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헷갈려서 걱정하신 적 있으시죠? 한국의 가족 호칭 문화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몇 가지 원칙만 알면 어렵지 않답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결혼으로 맺어진 새로운 가족들을 **직접 부를 때 사용하는 ‘호칭’**과 **다른 사람에게 그분을 이야기할 때 쓰는 ‘지칭’**을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 배우자의 입장에서 누가 누구인지 쉽게 이해하고, 명절이나 가족 모임에서 자신감 있게 호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!
1. 아내가 남편의 가족을 부를 때 (시댁 호칭)

| 관계 | 호칭 (직접 부를 때) | 지칭 (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)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남편의 아버지 | 아버님 | 시아버지 | 공식적인 지칭은 시아버지지만, 보통 남편의 아버지라고 함. |
| 남편의 어머니 | 어머님 | 시어머니 | 공식적인 지칭은 시어머니지만, 보통 남편의 어머니라고 함. |
| 남편의 형 (손위 시아주버니) | 아주버님 | 시아주버니, 시숙 | |
| 남편 형의 아내 (손윗동서) | 형님 | 동서 | 나이가 적더라도 ‘형님’으로 호칭하고 존대함. |
| 남편의 누나 (손위 시누이) | 형님 | 시누이 | |
| 남편 누나의 남편 (손위 시매부) | 아주버님 | 시매부 | |
| 남편의 남동생 (미혼) | 도련님 | 시동생 | |
| 남편의 남동생 (기혼) | 서방님 | 시동생 | |
| 남편 남동생의 아내 (손아랫동서) | 동서 | 동서 | 나이가 많더라도 ‘동서’로 호칭하고 존대함. |
| 남편의 여동생 (미혼/기혼) | 아가씨 또는 애기씨 | 시누이 | |
| 남편 여동생의 남편 (손아래 시매부) | 서방님 | 시매부 | 요즘은 ‘OO 서방님’ (예: 김 서방님) 또는 ‘OO 고모부’라고 부르기도 함. |
| 남편의 조카 (형제자매의 자녀) | 이름 또는 조카 | 조카 |
2. 남편이 아내의 가족을 부를 때 (처가 호칭)

| 관계 | 호칭 (직접 부를 때) | 지칭 (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)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아내의 아버지 | 장인어른 또는 아버님 | 장인 | |
| 아내의 어머니 | 장모님 또는 어머님 | 장모 | |
| 아내의 오빠 (손위 처남) | 형님 | 처남 | 나이가 어리면 ‘처남’이라고도 함. |
| 아내 오빠의 아내 | 아주머니 또는 처남댁 | 처남댁 | ‘처남댁’은 낮춰 부르는 느낌이 있어 피하기도 함. 아주머니는 호칭, 처남댁은 지칭으로 쓰이기도 함. |
| 아내의 언니 (손위 처형) | 처형 | 처형 | |
| 아내 언니의 남편 | 형님 | 동서 | 손윗사람이면 ‘형님’, 손아랫사람이면 ‘동서’라고 함. |
| 아내의 남동생 (손아래 처남) | 처남 | 처남 | 이름에 ‘씨’를 붙여 부르거나, 처남이라고 함. |
| 아내 남동생의 아내 | 처남댁 | 처남댁 | |
| 아내의 여동생 (손아래 처제) | 처제 | 처제 | 이름에 ‘씨’를 붙여 부르는 것을 권장하기도 함. |
| 아내 여동생의 남편 | 동서 | 동서 | 보통 ‘OO 서방’ (예: 이 서방)이라고 많이 부름. |
3. 기타 친척 호칭 (남편/아내 공통)
배우자의 친인척을 부를 때는 기본적으로 배우자가 부르는 호칭 앞에 ‘처’나 ‘시’를 붙인 지칭을 염두에 두되, 실제 호칭은 공경의 뜻을 담아 부릅니다.
| 관계 | 호칭 (직접 부를 때) | 지칭 (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)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배우자의 할아버지 | 할아버님 | 시조부/외조부, 장조부/외조부 | |
| 배우자의 할머니 | 할머님 | 시조모/외조모, 장조모/외조모 | |
| 남편의 큰아버지 | 큰아버님 | 시백부 | |
| 아내의 큰아버지 | 백부님 또는 큰아버님 | 처백부 | |
| 남편의 고모 | 고모님 | 시고모 | |
| 아내의 외삼촌 | 외숙모님 또는 외삼촌 | 처외숙 | |
| 남편/아내의 사촌 | 사촌 (형제자매 호칭에 준함) | 사촌 OOO | 나이 차이와 관계에 따라 ‘형님’, ‘아주버님’, ‘동서’ 등으로 부름. |

✅ 꼭 기억할 점
- ‘님’자를 붙여 존칭하기: 시댁 식구 호칭에는 **’님’자를 붙여 높이는 경우**가 많습니다.
- 배우자의 위치가 기준: 아내의 시댁 식구 호칭은 아내의 나이가 아닌 **남편의 형제 서열**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.
- 존댓말 사용: 손아랫동서나 처남댁이라도 나이가 많다면 **상대방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**이 전통적인 예의입니다.
- 현대적 호칭 변화: 최근에는 일부 호칭(도련님, 아가씨, 처남, 처제 등)의 성차별적 요소나 불편함 때문에 **’이름+님’ 또는 ‘이름+씨’**로 부르거나 아이들의 호칭을 따라 **’OO 고모부’, ‘OO 이모부’** 등으로 부르는 추세도 있습니다. 하지만, 상대방과 가족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새로운 가족과의 행복한 관계를 위해 정중한 호칭은 기본 예의입니다. 이 표를 통해 즐거운 가족생활 하시길 바랍니다!